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Review/Christian19

유튜브에서 NKJV 성경 구절 사용 시 저작권 알아보기 😊📖 안녕하세요, 여러분! 🙌 유튜브에서 말씀을 나누고 싶을 때, 성경 구절을 인용하는 경우가 많죠? 특히 **NKJV(New King James Version)**는 현대 영어로 쓰인 성경이라 설교나 성경 공부 콘텐츠에 딱 맞아요. 하지만 잠깐! 🚨 NKJV를 유튜브에 올릴 때 저작권 문제는 없을까요? 오늘은 이 궁금증을 속 시원히 풀어볼게요. 친절하게, 알기 쉽게 설명할 테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 1. NKJV의 저작권, 어떤 상황일까? 🤔NKJV는 1982년에 Thomas Nelson 출판사에서 나온 성경 번역본이에요. 현재는 HarperCollins Christian Publishing이 저작권을 가지고 있죠. 원문 성경은 공공 영역(Public Domain)이지만, NKJV는 번역 과정에서 .. 2025. 4. 11.
시편 묵상 요즘 시편을 읽고 있습니다. 시편의 말씀은 사막과 같이 갈라진 마음에 물을 공급하심과 같이 느껴집니다. 주님의 말씀은 생명이시고 위로와 힘이 되십니다.순종의 중요성 (시편 1:1-3)"복된 사람은 악인들의 계교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들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는 사람이요 오직 주의 법을 기뻐하며 주의 법을 주야로 묵상하는 사람이라 그는 강가에 심은 나무와 같아서 그 때마다 열매를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하며 그가 하는 모든 것이 다 잘 될 것임이라."   이 말씀은 순종의 중요성을 상기시켜 줍니다. 주님의 말씀을 따르면 풍성한 열매를 맺을 수 있지만, 나는 종종 다른 것들에 이끌려 주님의 길에서 벗어나곤 했습니다. 회개하며 돌이킬 때에 주님께서 다시 주의 길로 인도해.. 2025. 4. 9.
기독교와 좌파 사상의 양립 불가능성: 성경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현실 오늘은 기독교와 공산주의, 사회주의 등 좌파 사상이 본질적으로 양립할 수 없는 이유와, 최근 대한민국 교회와 기독교인들이 좌경화되는 현상에 대해 성경적 관점에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특히 민주당의 차별금지법과 같은 정책을 지지하는 일부 기독교인들의 태도를 비판하며, 회개와 돌이킴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기독교와 공산주의의 본질적 대립기독교는 유신론에 기반하며, 그 핵심 교리는 하나님의 사랑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원수를 사랑하라"(마태복음 5:44)고 말씀하셨고, 이는 하나님의 은혜와 구속을 통해 우리를 회복시키는 신앙의 본질을 보여줍니다. 반면, 공산주의는 무신론과 투쟁 이론을 근간으로 합니다. 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은 종교를 "인민의 아편"이라 규정하며,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를.. 2025. 3. 29.
새찬송가 전체 곡 리스트 (한/영) 1. 만복의 근원 하나님 (Praise God From Whom All Blessings Flow) 2. 찬양 성부 성자 성령 (To Father, Son and Holy Ghost) 3. 성부 성자와 성령 (Glory be to the Father) 4. 성부 성자와 성령 (Glory be to the Father) 5. 이 천지간 만물들아 (From All That Dwells Below the Skies) 6. 목소리 높여서 (Now to the King of Heaven) 7. 성부 성자 성령 (Glory to the Father) 8. 거룩 거룩 거룩 전능하신 주님 (Holy, Holy, Holy! Lord God Almighty) 9. 하늘에 가득 찬 영광의 하나님 (Heaven is Full.. 2025. 3. 21.
헌법재판소의 ‘대본 읽기’와 TF 중국인 논란, 주권의 위기 헌법재판소가 탄핵심판에서 재판관들이 대본을 읽는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국민적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법과 정의의 최후 보루라 불리는 기관이 마치 연극 무대처럼 미리 짜인 각본에 따라 움직인다는 인상을 주고 있으니, 실망을 넘어 분노가 치솟는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이 과정에서 헌법재판소의 태스크포스(TF)에 중국인 또는 외국 국적자가 포함되어 있다는 의혹이다. 이는 단순한 절차적 문제를 넘어 대한민국 주권에 중대한 위험을 초래하는 사안으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우선, 대본 읽기 논란은 헌법재판소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훼손한다.재판관들은 법률 전문가로서 사건의 쟁점을 깊이 고민하고, 양측 주장을 치밀하게 검토해 판단을 내려야 한다. 그러나 대본을 읽는다는 것은 그 판단이 이미 외부에서 정해졌다는 암시를 .. 2025. 3. 6.
창세기 12장 창세기를 묵상하며 쓴 글입니다. * 12장 1.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이르시되 너는 너의 고향과 친척과 아버지의 집을 떠나 내가 네게 보여 줄 땅으로 가라 2. 내가 너로 큰 민족을 이루고 네게 복을 주어 네 이름을 창대하게 하리니 너는 복이 될지라 3. 너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 너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내가 저주하리니 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얻을 것이라 하신지라 4. 이에 아브람이 여호와의 말씀을 따라갔고 롯도 그와 함께 갔으며 아브람이 하란을 떠날 때에 칠십오 세였더라 7.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나타나 이르시되 내가 이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라 하신지라 자기에게 나타나신 여호와께 그가 그 곳에서 제단을 쌓고 10. 그 땅에 기근이 들었으므로 아브람이 애굽에 거류하려고 그리.. 2023. 3. 18.
Asbury Revival 애즈베리 부흥에 대하여 참고자료는 하단에 있습니다. 애즈베리는 웨슬리와 동시대 사역자였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godwithus.tistory.com/338 Asbury 애즈베리 프란시스에 대하여 다음은 아래 참고자료에서 가져온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자료 : - 프란시스 애즈베리(Francis Asbury)와 존 웨슬리(John Wesley) —갈등과 화해, 박창훈 (서울신학대학교 조교수, 역사신 godwithus.tistory.com 이처럼 애즈베리 대학교명은 단순한 대학교 명이 아니라, 미국 캠프 미팅 부흥의 현장과 연관이 있다. 또한 애즈베리 부흥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 1970년 2월 3일 화요일에도 있었다. 이번 애즈베리 부흥은 2023년 2월 8일 수요일에.. 2023. 3. 6.
Asbury 애즈베리 프란시스에 대하여 다음은 아래 참고자료에서 가져온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자료 : - 프란시스 애즈베리(Francis Asbury)와 존 웨슬리(John Wesley) —갈등과 화해, 박창훈 (서울신학대학교 조교수, 역사신학) 애즈베리는 실존 인물의 이름이다. 프란시스 애즈베리(Francis Asbury, 1745-1816)는 존 웨슬리와 동시대의 사람이며 미국 감리교(Methodist Episcopal Church)를 시작한 인물이다. 동쪽을 뜻하는 “Ash”와 요새를 뜻하는 “Bury”였기에 강력 한 성읍 또는 동쪽의 요새의 의미를 갖고 있다. 애즈베리는 직접 말을 타고 개척지를 누비며 순회설교를 했다고 한다. 웨슬리는 설교를 통해서도 미국 독립이 하나님의 뜻에 반하는 것임을 역설했다. 더 나아가 독립전쟁.. 2023. 3. 6.
CCLI & SongSelect 교회 저작권 라이센싱 사역단체 CCLI 는 Christian Copyright Licensing International 의 약자이다. CCLI는 교회 내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고 분쟁으로부터 교회를 보호하기 위해 현 대표 하워드 라친스키 목사가 1985년부터 시작한 스타프레이즈 사역에서부터 출발했다. 1988년 법인화와 동시에 스타프레이즈 사역 명칭을 CCLI로 변경하면서 본격적인 교회 저작권 라이센스 서비스를 개시했다. 대표 하워드 라친스키 목사는 CCLI가 사역단체라는 점을 강조한다. 교인 숫자에 따라 연간 사용료를 내면 CCLI 에 등록된 곡들을 예배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CCLI 교회 저작권 라이선스는 교회가 필요한 저작권 사용허가를 담고 있다. 복사기/프린터를 이용한 복사와 인쇄, 가사를 화면.. 2023. 2. 11.
[2009479] 국가인권위원회법 일부개정법률안 (김태흠의원 등 17인) 찬성합니다 [2009479] 국가인권위원회법 일부개정법률안(김태흠의원 등 17인) http://pal.assembly.go.kr/law/readView.do?lgsltpaId=PRC_O1A7C0Z9I1X9B1I5C5D8N3B0W2N2T0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현행법은 평등권 침해의 차별행위로 “성적(性的) 지향”을 규정하고 있는 바(제2조제3호), “성적 지향”의 대표적 사유인 동성애(동성 성행위)가 법률로 적극 보호되어 사회 각 분야에서 동성애(동성 성행위)가 옹호 조장되어온 반면, 동성애에 대하여 양심·종교·표현·학문의 자유에 기한 건전한 비판 내지 반대행위 일체가 오히려 차별로 간주되어 엄격히 금지되어 옴. 그 결과 헌법상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인 양심·종교·표현·학문의 자유가 현행법 “성적지향” 조항과 충돌하는.. 2017. 9. 27.
반응형